본문 바로가기
주식일기

공매도란 재개 종목 영향 및 투자전략

by mylifeis 2021. 5. 1.
반응형

5월 3일 재개되는 공매도란 무엇이며 어느 종목들이 해당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4월 30일 코스피 3,147.86 (-0.83%), 코스닥 983.45 (-0.73%) 하락으로 장을 마감했지만 공매도에 대한 우려가 생각보다 크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외국인/기관 수급이 들어와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반대로 개인투자자들은 주가 하락에 대한 불안감으로 비중 축소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

 

공매도-투자전략
공매도

도대체 공매도가 무엇이길래 재개하기도 전에 이슈가 되는지 개인적으로 많은 자료를 찾아봤습니다. 또한 공매도 증가가 주가를 하락시키는 원인이 되는지도 알아봅니다.

 

공매도란 무엇인가요?

공매도 뜻 空(빌 공 = 없다) 賣(팔 매 = 팔다) 渡(건널 도= 건네다) 우리나라 공매도는 실제로 소유하지 않은 차입(대차거래)한 증권만 매도할 수 있습니다. (무차입 공매도 금지) 매도한 수량만큼 차후 매수를 해야 하는 방식으로 '선매도 후 매수'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외국인, 기관, 개인 모두 참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투자자가 직접 공매도를 하기에는 쉽지 않고 외국인과 기관 비중이 높습니다.

 

공매도는 언제 나올까요?

향후 종목이 하락할 것으로 판단될 경우 공매도를 합니다. '주식은 저가에 사서 고가에 팔아야 수익'이 발생한다는 원리를 대입하면 대차거래(주식을 빌려서)로 고가에 팔고 차후 하락했을 때 사면 수익이 발생하게 됩니다. 

 

하락으로 예상한 종목이 상승한다면 손실로 이어지기 때문에 꼼꼼하게 분석해서 "앞으로 방향은 하방이다"라는 확신이 있을 때 매도하는 방식이므로 개인투자자에게 꼭 불리한 건 아닙니다. 공매도 과열 종목만 잘 살펴봐도 주가의 향방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도 포착할 수도 있습니다.

 

공매도 재개 종목 (공매도 가능 종목)

2021년 5월 3일 월요일부터 재개되는 종목은 코스피 200, 코스닥 150으로 상위 종목만 실시하고 순위에 해당하지 않는 종목들은 공매도 제한이 적용됩니다. 예로 코스닥 종목 중 시가총액이 350위라면 공매도 재개 종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입니다. 반대로 150위 안에 포함되면 5월 3일부터 공매도 물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매도 주가 영향

'과연 주가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2014년 코스피와 코스닥 공매도 상위 20 종목을 토대로 주가와 공매도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한 내용이 있습니다. 

 

  • 공매도가 주가를 하락하게 유발 (4종목)
  • 주가 하락이 공매도를 선행 (15 종목)
  • 서로 간에 인과관계가 없는 경우 (18 종목)

 

※ 업틱률 (uptick rule) : 현재가를 기준으로 그 이하로 끌어내리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합니다. 

 

위 내용을 토대로 공매도가 주가에 주는 영향이 어느 정도 발생할 수 있지만 큰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시가총액이 높은 상위 종목만 허용되므로 뚜껑을 열어봐야 실체를 파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공매도 투자전략

호가창에 매도가 많이 쌓여 있으면 상승 추세를 막아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 일부 종목이 단기간에 공매도 잔고가 높아 하락폭이 심하다면 현재 회사의 가치를 분석해야 합니다. 악재가 없는데도 공매도 과열로 너무 많이 빠졌다면 공매도에 대한 재매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매수 타이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앞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해 나갈 아이디어가 있는데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성공적인 투자전략이 아닌 장기투자를 위한 아이디어라는 점!

재개 종목에서 제외된 업체들 중 고배당금, 낮은 부채비율, 안정적인 순수익률을 꾸준히 유지하고 있는 중소형만 리스트를 뽑습니다. 저는 오늘 3개 업체 찾아서 보초병만 세워둔 상태입니다.
배당 수익률은 4%를 기준으로 잡습니다.

이전 3년간 평균 배당금이 400원이라고 가정하면 주가가 1만원 이하일 때 4% 이상의 배당금 수익이 발생합니다. 현재 1만원 이상 주가가 형성되어 있고 향후 1만원 밑으로 내려오지 않는다면 척후병만 투자하고 기회가 왔을 때 물량을 모아 나가기 시작합니다. 

 

주식 물량을 줄여야 할 때

 

  • 큰 폭으로 상승 후 추세가 꺾이면서 대차잔고가 늘어날 때
  • 횡보나 하락 추세에서 대차잔고가 늘어날 때
  • 회사에 큰 악재가 있거나 실적이 점차적으로 감소할 때

 

※ 공매도는 대차 한 물량으로 거래를 할 수 있으므로 대차잔고가 늘어난다면 의심을 해야 합니다. 

※ 공매도 통계는 KRX 공매도 종합포털에서 검색하실 수 있습니다.

 

공매도-거래량
공매도-거래량

위 표는 KRX 공매도 종합포털에서 보실 수 있고 개별종목, 개별 업종, 투자자별 등 거래/잔고/과열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주가는 예측이 아니고 대응이라고 하죠. 막연하게 생각하는 것보다 통계 자료를 보고 어떻게 대응해 나갈 것인지 계획을 세워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